본문 바로가기
정보

소화기 설치 기준 총정리 – NFSC 101에 따른 필수 가이드

by 머니덩어리 2025. 4. 20.

화재는 예고 없이 발생하며, 초기 대응이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소화기는 이러한 초기 대응의 핵심 도구로, 적절한 설치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소화기 설치기준 NFSC 101 법령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101)에 따라 소화기 설치 기준이 정해져 있으며, 이는 필히 준수해야 합니다.

1. 소화기 설치 대상

다음과 같은 경우 소화기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 연면적 33㎡ 이상인 특정 소방대상물: 일반 건축물, 상업시설, 공장 등
  • 지정문화재 및 가스시설: 화재 위험이 높은 시설
  • 터널 등 특별한 구조물: 화재 발생 시 대피가 어려운 구조

특히, 노유자시설(노인복지시설, 유치원 등)의 경우 투척용 소화용구를 소화기 수량의 절반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2. 소화기 설치 위치 및 거리 기준

소화기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설치해야 합니다:

  • 모든 층에 설치: 각 층마다 최소한의 소화기를 배치해야 합니다.
  • 보행거리 기준:
    • 소형 소화기: 해당 층의 각 부분에서 소화기까지의 보행거리가 20m 이내
    • 대형 소화기: 보행거리 30m 이내
  • 설치 위치: 출입구, 복도 등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하며, 고정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높이: 거주자 등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하의 곳
  • 표지: 소화기라고 적힌 축광식 표지를 반드시 이용할 것

소화기 설치 기준

 

3. 소화기 수량 산정 기준

소화기 수량은 건물의 구조와 면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산정합니다:

  • 각 층마다 최소 1개 이상 설치
  • 바닥면적이 33㎡ 이상인 거실: 추가로 소화기 설치 필요
    * "거실"이란 거주·집무·작업·집회·오락 그 밖에 이와 유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하는 방
  • 소화기 간 보행거리: 소형 소화기 20m, 대형 소화기 30m 이내

즉, 내가 어디서든 걸어서 20m 안에 소화기가 1대 있어야 합니다!

 

 

 

4. 소화기 종류 및 능력단위

소화기는 화재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A급 화재: 일반 가연물(목재, 종이 등)
  • B급 화재: 인화성 액체(휘발유, 페인트 등)
  • C급 화재: 전기 화재

소화기의 성능은 '능력단위'로 표시되며, A3은 A급 화재에 대한 3단위 성능을 의미합니다.

능력단위가 높을수록 더 큰 화재를 진압할 수 있습니다.

 

5. 소화기 설치 시 유의사항

  • 정기적인 점검: 소화기의 압력 게이지 확인, 약제 유효기간 체크 등
  • 교육 및 훈련: 직원들에게 소화기 사용법 교육 실시
  • 표시 및 안내: 소화기 위치를 명확히 표시하여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