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일마다 각 공공기관 및 가정 등에서는 국기(태극기)를 게양합니다.
국기(태극기) 게양하는 것은 나라 사랑의 실천방법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본 글에서는 우리나라 국기 게양일에 해당하는 국경일과 태극기의 의미 및 게양 방법에 대하여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국경일과 태극기 게양일
- 국경일(게양 필수): 3·1절, 현충일,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국군의 날
- 경축일 또는 평일: 깃봉과 깃면의 사이 공간 없이 최상단 게양
- 조의를 표하는 날: 현충일, 국가장 기간 등에는 태극기를 ‘깃면 너비만큼 내려서’ 조기로 게양
- 태극기는 “법에 따라 매일·24시간 게양할 수 있으며”, 야간 게양 시 조명을 켜야 합니다. (악천후 시엔 게양 지양)
- 학교나 군대는 낮에만 게양(게양 시간: 오전 7시, 강하 시간: 오후 6시(3~10월), 오후 5시(11~2월)
2. 태극기에 담긴 의미
태극기는 흰 바탕, 태극 문양, 그리고 사괘(건·곤·감·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흰 바탕: 밝음, 순수, 평화의 민족성을 상징
- 태극 문양: 음(파랑)과 양(빨강)의 조화를 통해 우주의 조화를 의미
- 사괘: 건(하늘), 곤(땅), 감(물), 이(불) – 만물의 기본 원리 표현
3. 태극기 게양 방법과 위치
- 경축일/평일: 깃봉과 깃면 사이 공간 없이 게양
- 조기 게양: 깃봉까지 올렸다가 깃면 너비만큼 내려 달기
- 다른 기와 함께 게양 시 태극기를 가장 높은 위치에, 홀수개는 중앙, 짝수개는 왼쪽 배치
- 가정에서는 대문이나 난간, 공동주택은 출입구 부근, 차량은 전면 기준 왼쪽에 게양
4. 국기 구매방법 및 폐기방법
- 구매방법
- 태극기는 각급 지자체(시·군·구청 및 읍·면·동 주민센터 등) 민원실이나 구내매점, 인터넷 우체국 또는 가까운 우체국의 "우체국쇼핑"을 이용하거나 인터넷 태극기 판매업체 등을 통해 구입할 수 있습니다. - 폐기방법
- 훼손된 국기는 즉시 소각 등을 이용하여 폐기하여야 하나, 가정에서는 소각이 어려우니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에 비치된 태극기 수거함에 넣는 것이 좋습니다. 잘못된 폐기방법은 국기법에 따라 문제의 소지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5. 요약 표
구분 | 국기 게양 방식 | 비고 |
---|---|---|
국경일 | 깃봉과 깃면 사이 없이 정상 게양 | 3·1절, 광복절 등 |
조의의 날 | 깃봉까지 올렸다가 내려 조기 게양 | 현충일 등 |
매일 게양 | 법적 허용, 야간 시 조명 필요 | 악천후 시 게양 자제 |
6. 국경일과 태극기, 나라 사랑 실천
국경일과 조기 게양일에 태극기를 올림으로써 민주주의와 독립을 지킨 선조들을 기억하고, 일상 속에서도 나라 사랑의 마음을 되새길 수 있습니다. 오늘은 언제 태극기를 올려야 하나 고민될 때, 이 글을 참고해 주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국가 가사 및 악보 – 역사와 제창 예절 (1) | 2025.08.14 |
---|---|
전국 주민세 안내와 직장인 지방소득세(급여명세서 ‘주민세’) 차이 (3) | 2025.08.13 |
수돗물 안심확인제 신청방법·검사항목·결과조회 총정리 (1) | 2025.08.11 |
2025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발급 및 사용기간, 할인혜택, 사용방법) (4) | 2025.08.11 |
2025 에너지바우처 신청 대상, 지원금액, 신청기간 총정리 (5) | 2025.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