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국경일 태극기 게양일과 올바른 게양 방법, 태극기의 의미까지 한눈에 정리

by 머니덩어리 2025. 8. 14.

국경일마다 각 공공기관 및 가정 등에서는 국기(태극기)를 게양합니다.

국기(태극기) 게양하는 것은 나라 사랑의 실천방법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본 글에서는 우리나라 국기 게양일에 해당하는 국경일과 태극기의 의미 및 게양 방법에 대하여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국경일과 태극기 게양일

  • 국경일(게양 필수): 3·1절, 현충일,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국군의 날
  • 경축일 또는 평일: 깃봉과 깃면의 사이 공간 없이 최상단 게양
  • 조의를 표하는 날: 현충일, 국가장 기간 등에는 태극기를 ‘깃면 너비만큼 내려서’ 조기로 게양
  • 태극기는 “법에 따라 매일·24시간 게양할 수 있으며”, 야간 게양 시 조명을 켜야 합니다. (악천후 시엔 게양 지양)
  • 학교나 군대는 낮에만 게양(게양 시간: 오전 7시, 강하 시간:  오후 6시(3~10월), 오후 5시(11~2월)

 

2. 태극기에 담긴 의미

태극기는 흰 바탕, 태극 문양, 그리고 사괘(건·곤·감·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흰 바탕: 밝음, 순수, 평화의 민족성을 상징
  • 태극 문양: 음(파랑)과 양(빨강)의 조화를 통해 우주의 조화를 의미
  • 사괘: 건(하늘), 곤(땅), 감(물), 이(불) – 만물의 기본 원리 표현

출처: 행정안전부 태극기 이미지 다운로드

3. 태극기 게양 방법과 위치

  • 경축일/평일: 깃봉과 깃면 사이 공간 없이 게양
  • 조기 게양: 깃봉까지 올렸다가 깃면 너비만큼 내려 달기
  • 다른 기와 함께 게양 시 태극기를 가장 높은 위치에, 홀수개는 중앙, 짝수개는 왼쪽 배치
  • 가정에서는 대문이나 난간, 공동주택은 출입구 부근, 차량은 전면 기준 왼쪽에 게양

 

4. 국기 구매방법 및 폐기방법

  • 구매방법
    - 태극기는 각급 지자체(시·군·구청 및 읍·면·동 주민센터 등) 민원실이나 구내매점, 인터넷 우체국 또는 가까운 우체국의 "우체국쇼핑"을 이용하거나 인터넷 태극기 판매업체 등을 통해 구입할 수 있습니다.
  • 폐기방법
    - 훼손된 국기는 즉시 소각 등을 이용하여 폐기하여야 하나, 가정에서는 소각이 어려우니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에 비치된 태극기 수거함에 넣는 것이 좋습니다. 잘못된 폐기방법은 국기법에 따라 문제의 소지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5. 요약 표

구분 국기 게양 방식 비고
국경일 깃봉과 깃면 사이 없이 정상 게양 3·1절, 광복절 등
조의의 날 깃봉까지 올렸다가 내려 조기 게양 현충일 등
매일 게양 법적 허용, 야간 시 조명 필요 악천후 시 게양 자제

 

6. 국경일과 태극기, 나라 사랑 실천

국경일과 조기 게양일에 태극기를 올림으로써 민주주의와 독립을 지킨 선조들을 기억하고, 일상 속에서도 나라 사랑의 마음을 되새길 수 있습니다. 오늘은 언제 태극기를 올려야 하나 고민될 때, 이 글을 참고해 주세요!

 

 

 

 

애국가 가사 및 악보 – 역사와 제창 예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