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가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가(國歌)로,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담은 노래입니다.
현행 애국가의 가사와 곡은 안익태 선생이 1935년에 작곡한 것으로,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공식적으로 사용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애국가의 역사, 작곡 배경, 제창 예절과 함께 애국가 가사 및 악보에 대해 정리합니다.
1. 애국가의 역사
애국가라는 명칭과 가사가 등장한 것은 조선 말 개화기 이후부터입니다.
1896년 독립신문 창간을 계기로 여러 애국가 가사가 신문에 실렸으나, 당시 어떤 곡조로 불렀는지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1902년 대한제국은 서구식 군악대를 조직하고 ‘대한제국 애국가’를 만들어 국가 주요 행사에서 사용했습니다.
오늘날 불리는 애국가의 가사는 1907년 전후에 작성된 것으로,
외세 침략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한 시기에 국민의 자주 의식과 충성심을 북돋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초기에는 스코틀랜드 민요 올드 랭 사인(Auld Lang Syne)에 맞춰 불렸지만,
해외에서 활동하던 안익태 선생이 이를 안타깝게 여겨 1935년 현재의 곡을 작곡했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이 곡을 채택했지만, 국내에서는 광복 이후까지 민요 버전이 사용되다가
1948년 정부 수립과 함께 안익태 작곡의 애국가가 전국적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2. 애국가 제창 예절
- 애국가를 부를 때는 경건한 마음을 가지며, 가사나 곡조를 임의로 변경해서는 안 됩니다.
- 주요 행사에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4절까지 모두 제창합니다.
- 전주곡은 모두 함께 부를 때만 연주하며, 시상식·공연 등 단순 연주 시에는 전주곡을 생략합니다.
- 연주만 할 경우에도 자리에서 일어나 경청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3. 애국가 가사
1절
동해 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2절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 서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3절
가을 하늘 공활한데 높고 구름 없이
밝은 달은 우리 가슴 일편단심일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4절
이 기상과 이 마음으로 충성을 다하여
괴로우나 즐거우나 나라 사랑하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4. 애국가 악보
애국가는 단순한 노래를 넘어, 우리 민족의 역사와 정신을 담은 상징입니다.
가사를 음미하며 부를 때, 선조들의 나라 사랑과 희생을 되새기고 그 뜻을 이어가는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국경일 태극기 게양일과 올바른 게양 방법, 태극기의 의미까지 한눈에 정리
국경일 태극기 게양일과 올바른 게양 방법, 태극기의 의미까지 한눈에 정리
국경일마다 각 공공기관 및 가정 등에서는 국기(태극기)를 게양합니다.국기(태극기) 게양하는 것은 나라 사랑의 실천방법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본 글에서는 우리나라 국기 게
lot-of-money.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경일 태극기 게양일과 올바른 게양 방법, 태극기의 의미까지 한눈에 정리 (2) | 2025.08.14 |
---|---|
전국 주민세 안내와 직장인 지방소득세(급여명세서 ‘주민세’) 차이 (3) | 2025.08.13 |
수돗물 안심확인제 신청방법·검사항목·결과조회 총정리 (1) | 2025.08.11 |
2025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발급 및 사용기간, 할인혜택, 사용방법) (4) | 2025.08.11 |
2025 에너지바우처 신청 대상, 지원금액, 신청기간 총정리 (5) | 2025.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