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혼부부 증여세 면제2

아파트, 오피스텔, 토지 증여세 계산 방법 완전정리 증여세는 누구에게 얼마만큼의 재산을 받았는지에 따라 금액이 달라집니다. 부모님이나 배우자에게 증여를 받는 경우에는 일정 금액까지 공제가 적용되며,이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과세가 이뤄집니다. ● 증여세 계산 공식증여세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합니다.과세표준 = 증여받은 재산가액 - 증여재산공제증여세 = 과세표준 × 세율여기서 핵심은 ‘재산가액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와 ‘얼마까지 공제받을 수 있느냐’입니다. ◆ 증여재산의 평가 방법증여받은 재산은 증여 당시의 시가로 평가합니다. 시가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적용합니다.토지 : 개별공시지가 (지정지역은 배율방법 적용)건물 : 국세청장이 고시한 기준시가 적용 (오피스텔·상업용·주택은 제외)오피스텔·상업용 건물 : 국세청장이 정한 일괄 .. 2025. 8. 5.
신혼부부·출산가구, 부모님에게 최대 3억까지 증여세 없이 받을 수 있다 결혼 및 출산이 후 부모님에게 도움 없이 자립하고 싶은 심정이 크지만,자산가격, 물가가 모두 오른 요즘 시대에 참 어려운 일인 것 같습니다. 혹여나 부모님께서 증여를 해주실 수 있는 환경이신 분들은 또 증여세가 걱정되실 겁니다. 기본 증여는 10년간 5천만원이지만 적지만,신혼부부와 출산 가구는 부모님에게 최대 3억원까지 세금 없이 증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어떤 내용이 바뀐 걸까?혼인 또는 출산 시, 기존 증여세 공제 한도 5,000만원에 1억 원을 추가 공제1인당 최대 1억 5,000만 원까지 비과세부부 합산 시 최대 3억 원까지 세금 없이 증여 가능이 혜택은 혼인신고 또는 출산일 기준으로 2년 이내에 본인의 직계존속(부모)에게 증여를 받는 경우에만 해당합니다. ◆ 주의! 시부모·장인장모는 해당 안 .. 2025. 8. 5.